"시계 무브먼트의 종류"
시계 무브먼트의 종류에는 오토매틱(자동), 메뉴얼 와인딩(이하 '수동') 그리고 쿼츠가 있습니다. 이들의 차이는 크게 기계적 운동 에너지로 움직이는 오토매틱과 수동 그리고 전지 에너지로 움직이는 쿼츠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계식 시계는 다시 에너지를 자동으로 얻는 오토매틱과 수동으로 와인딩하는 수동으로 나뉘게 됩니다.
이 외에도 하이브리드 무브먼트나 스프링 드라이브 등 여러 종의 무브먼트가 있지만 대부분의 시계는 저 3개의 종류 안에 존재하게 됩니다.
오토매틱 무브먼트(Automatic movement)/ 셀프 와인딩(Self-winding)/ 자동

출처/ 피아제
오토매틱 무브먼트(Automatic movement)란 로터(무게추)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운동에너지를 자동으로 시계 에너지로 전환시켜주는 시계 무브먼트를 의미합니다. 자동 시계, 셀프 와인딩이라고도 불립니다. 일반적으로 팔을 들어올리거나 흔드는 행위 등을 통해 에너지를 전환시키며 사용자의 움직임이 충분한 경우 특별한 와인딩 없이 시계 운동이 지속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합니다.
오토매틱 시계의 장점은 편리하지만 반대로 단점을 뽑자면 1) 무게와 두께 증가 2) 안전성 감소 등이 존재합니다. 해당 단점은 모두 수동 시계에 비해 나타날 수 있는 상대적인 단점입니다. 로터의 무게는 일반적으로 오토매틱 무브먼트에서 가장 큰 포션을 차지하는 만큼 수동 시계에 비해 무겁고 두꺼워 집니다. 대게 하이앤드 브랜드에서는 로터의 소재를 22k 골드로 만들어 효율을 높입니다. 또한 셀프 와인딩 무브먼트에 비해 태생적으로 사용자 움직임에 민감하고 특히 격한 활동에 의한 잔고장이 더 많은 편입니다.
메뉴얼 와인딩(Manual-winding)/ 수동

출처/ timeandtide
메뉴얼 와인딩(Manual-winding)이란 와인딩이라는 용두를 사용자가 직접 감는 행위를 통해 에너지를 충전하는 기계식 무브먼트를 의미합니다. 보통 한국에서는 수동 시계라고도 불립니다. 수동 시계의 장점들은 로터가 없다는 점에서 나옵니다. 로터가 가리는 부분이 없기에 주로 시스루백을 채택하여 조형미를 자랑합니다. 또한 무게가 가볍고 얇아 보통 드레스 워치에 사용되는 무브먼트입니다.
단점은 지속적으로 동력을 제공해주지 않으면 멈춘다는 점입니다. 특히 하이앤드 수동 시계의 리저브 타임이 길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사실 상 매일 아침 와인딩을 해주는 것이 권장됩니다.
쿼츠(Quartz)

출처/ 그랜드세이코